호형의 자세가 생긴 덕분에 공격 바리에이션이 더욱 넓어진 라우.
빠른 펀치와 중단 공격등이 밀어 붙이는 라우를 더욱 더 강하게 만들어준다. 하지만 하단공격이 마땅치가 않아서 문제.... 중단과 잡기를 병행하거나 사상장으로 띄워 버리자.
연환 전신 소각(PPP↓K)
재빠른 펀치 3번후 하단 돌려차기로 마무리. 모든 공중콤보에 이용되는 타격기이며 연환배전각(PPP↖K)과 함께 이지선다로 사용되는 타격기이다. 간단하지만 당하는 입장에선 상당히 골치아픈 연계기로 펀치만 뻗다가 잡기로 이행하는등 여러 패턴을 구사할수 있다. 다만 펀치는 모두 상단이라서 앉아있는 상대의 펀치에 자주 끊길수 있다는 점이 문제. 하지만 사하장(↘P)으로 시작한다면 크게 문제 될것도 없다. 라우라면 일단 ppp로 몰아 붙이자.
사상장(▼↘P)
라우의 주력 띄우기 전용 필살기. 카운터 히트하면 상대를 공중에 띄워버린다. 이후 가볍게 공중콤보 한 세트가 들어간다. 앉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의 상단 공격의 카운터를 노리기가 쉽다. 가드 당해도 호형의 자세로 파생 할수 있기 때문에 경직을 많이 줄일수 있다.
사하장.(↘P)
사상장과 더불어 라우의 주력기. 앉아서 가드하는 상대를 일으켜 세우며 이후 연속하는 펀치가 히트하는 극악의 타격기. 하단기가 빈약한 라우를 상대하다 보면 상대가 자주 앉아서 가드하는데 중단 공격인 봉황창장()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 만점인 타격기.
봉황창장.(→PP)
라우의 팔꿈치. 일타가 가드당해도 이타로 이행하여 경직을 줄일수 있으며 호형의 자세로 파생할수 있기 때문에 거의 약점이 없는 중단기.
순보연장(↘↘PP)
몸을 숙이면서 상대에게 파고 들어 연타를 날리는 기술. 발생 속도가 빠르고 중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파고들기가 좋다. 호형으로 파생가능.
호창장.(←→P)
주격(→P) 보다 발생이 빠른 상단기. 상대의 경직이 큰 공격을 막고 난후 사용하자 상대를 찍어 내려 바운드 콤보가 가능하다. 스탠스에 따라 전신 쌍호장과 연환 호연장이 들어간다.
연자장(P+K)
몸을 움츠렸다가 에네르기파 자세로 상대를 가격하는 타격기로 모으기가 가능하다. 최대로 모은뒤 사용하면 가드를 해체 할수 있다. 이후 호창장등으로 상대를 유린할수 있다.
모으는 도중 ←를 입력하면 연자장이 취소되고 호형의 자세로 파생
지소퇴(→↓K )
하단기가 빈약한 라우의 하단쓸기. 히트하면 상대를 다운 시킨다.
호형의 자세
각종 타격기에서 파생할수 있는 자세로 라우의 공격 패턴을 더욱 늘려주며 타격기의 경직을 줄일수있는 유용한 자세. 특히 호형의 자세중 호조격장(호형의 자세중 P+K)은 상단이지만 히트하면 상대를 다운 시키며 가드를 해체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호창장 등이 히트한다. 상단인것이 흠....전심사상쌍격(호형의 자세중 PPP+K)이나 호각배전(호형의 자세중K)과 함께 사용하면 상대를 더욱 혼란에 빠뜨릴수 있다.
붕신쌍호조장(▼→P+G) 호연 연무(←↘P+G)
새로 추가된 라우의 잡기. 화려한 라우의 잡기 연무를 감상할수 있으니 한번씩 써보자. 정신적 충격도 만만치 않다.
공중콤보.
1. 사상충추(▼↘PP) - 연장전신소각(↘PPPK)
사상장에서 이어지는 간단한 콤보. 공중에 띄우면 바로 이게 최고.
쌍호열파()에서도 간단히 들어간다.
2. 호창장 (←→P) - 전신쌍호장(P←PP)
라우가 정위치에서 호장장을 히트 시켰을 경우 가능한 콤보 역위치에선 소충권(↓P) - 연환호연장(▼↘PP+K) 이 들어간다.
퀘스트에서...
상단 중단 정신없는 밀어 붙이기식 공격과 호형의 자세 추가로 더욱 공격패턴이 많아졌으나 퀘스트 A.I.들은 상단 공격은 무조건 앉아 펀치로 끊어 버리기 때문에 중단 공격과 잡기를 이용한 패턴을 자주이용해야할것이다.